신생아가 갑자기 이유 없이 보채고, 자주 깨고, 평소보다 더 안기는 걸 원할 때가 있지 않으셨나요?
분명 밥도 잘 먹고, 기저귀도 깨끗한데 왜 이러는 걸까 의아했던 순간.
사실 이런 변화는 단순한 성격이나 육아 실수 때문이 아니라, 아기의 뇌가 ‘성장’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이 시기를 설명해주는 개념이 바로 ‘원더윅스(Wonder Weeks)’입니다.
1. 원더윅스란?
원더윅스(Wonder Weeks)는 네덜란드의 발달심리학자 헤티 반 더 리트와 프란스 플루후가 개발한 이론으로, 아기의 뇌가 급격히 발달하면서 세상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특정 주간(wEEK)에 겪는 발달 퇴행기 + 도약기를 말합니다.
쉽게 말하면, 아기는 갑자기 많은 것을 ‘느끼고’, ‘배우고’, ‘감지’하게 되는 시기가 오며, 이로 인해 낯설고 불안한 감정에 휩싸이면서 평소보다 더 힘들어 보일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이 시기가 지나면 이전보다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.
2. 원더윅스, 언제 오는 걸까? 주요 시기 요약
원더윅스는 출산 예정일을 기준으로 생후 20개월까지 총 10번 발생합니다.
시기(출산 예정일 기준) | 발달 도약 내용 | 흔한 행동 변화 |
---|---|---|
5주 | 감각의 세상 | 짜증, 수면 불규칙, 엄마 품 찾기 |
8주 | 패턴 인식 | 눈맞춤 증가, 손 관찰, 더 자주 깸 |
12주 | 부드러운 변화 인지 | 소리 반응, 웃음 증가, 팔 다리 더 많이 움직임 |
19주 | 사건 인과 관계 이해 | 장난감 던지고 반응 보기, 예민함, 낯가림 시작 |
26주 | 거리 인식 | 떨어지면 울기 시작, 붙어있으려 함 |
37주 | 순서 이해 | 반복 놀이에 흥미, 수면 퇴행, 떼쓰기 |
46주 | 카테고리 분류 | 사물의 차이 인지, 간단한 지시 이해, 고집 부림 |
55주 | 일관성 인식 | "아니야"에 반응, 독립심 강화, 떼쓰기 증가 |
64주 | 프로그램화된 행동 인식 | 모방, 반복 놀이, 간단한 도움 행동 시도 |
75주 | 원칙 인식 | 규칙 이해, 고집 세짐, 자아 형성, 감정 표현 증가 |
▶ 원더윅스 시기, 이런 변화가 있다면?
원더윅스에 접어든 아기는 아래와 같은 변화된 행동을 보입니다. 단순히 '말 안 듣는 아기'가 아니라, 두뇌의 발달 과정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대표적인 변화
- 갑자기 잠을 못 자고 자주 깨기 시작함
- 모유나 분유를 잘 먹다가 거부하거나 자주 보챔
- 평소보다 더 많이 울고, 낯을 가리며 예민해짐
- 항상 안기려 하고 떨어지면 금세 울어버림
- 새로운 자극에 유난히 민감하게 반응
- 짜증이 늘고, 이전에 하던 놀이에 집중하지 못함
이런 변화는 보통 며칠~2주 안팎으로 지나가며, 이후 새로운 발달 행동이 나타나게 됩니다.
3. 원더윅스, 왜 중요한가요?
아기의 이상 행동을 단순히 ‘성격 문제’나 ‘육아 실패’로 생각하면 부모는 쉽게 지치게 됩니다.
하지만 원더윅스를 이해하면 아기가 겪는 혼란에 공감하고 더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아기가 잘 자다가 갑자기 보채기 시작했다면 "왜 이러지?"보다 “아, 지금 새로운 세상을 받아들이는 중이구나”라고 생각해보세요. 부모의 인식이 바뀌면 반응도 바뀌고, 아기도 더욱 안정감을 느낍니다.
▶ 부모가 해야 할 대처법
① 더 많이 안아주세요
안정감이 필요할 때 아기는 엄마 아빠의 품을 가장 찾습니다. 자주, 오래, 따뜻하게 안아주세요.
② 수면 리듬은 조정하되 억지로 만들지 마세요
이 시기엔 수면 퇴행이 흔합니다. 무리하게 재우려 하지 말고, 졸릴 때 자연스럽게 재우는 것이 좋습니다.
③ 규칙보다는 유연하게 대응하세요
일관성은 중요하지만, 원더윅스 동안만큼은 평소보다 조금 더 부드럽고 유연한 육아 태도가 필요합니다.
④ 자극은 줄이고, 애착은 강화하세요
낯선 외출, 시끄러운 환경은 줄이고, 집에서의 애착 놀이와 눈맞춤을 늘려주세요.
⑤ 부모의 감정관리도 중요합니다
부모도 불안하고 지칠 수 있지만, 잠깐이라도 휴식을 취하거나 서로 교대 육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결론
아기의 발달은 단순히 몸이 크는 것이 아니라, 세상을 보는 눈과 느끼는 감각이 확장되는 복잡한 변화입니다.
그 변화가 마냥 편안하고 순탄하지만은 않기에, 아기는 울고 짜증내며 표현합니다.
‘원더윅스’를 알고 있으면, 이러한 시기를 이해하고 더 현명하게 육아할 수 있습니다.
부모가 먼저 이해하면 아기의 불안도 줄어들고, 훨씬 더 안정적인 애착 관계가 형성됩니다.
지금 아기가 힘들어 보인다면, 그건 곧 한 단계 도약할 준비를 하고 있는 성장의 과정과 신호일지도 모릅니다.